Logger Script

소아정형클리닉

가족의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는
삼성본병원입니다.


성장통

3~12세 사이의 성장기 어린이의 약 30%가 경험하는 통증으로 종아리나 허벅지의 근육이나 무릎관절, 고관절 등 다리의 관절에 명확한 원인 없이 간헐적으로 근육이 당긴다거나 관절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통증 증후로 주변에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습니다.이와 같은 성장통은 성장기 건강한 아이들이 겪는 일시적인 증상이지만 경우에 따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국소압통, 편측 통증 등이 있으면 성장통이 아닐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봐야 합니다.

성장통 증상
  • 양쪽 다리의 간헐적 통증이 나타난다.
  • 다리나 팔 양쪽 부위 모두 통증이 나타난다.
  •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났다가 없어진다.
  • 주로 낮보다 밤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잦다.
성장통 치료

성장통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통증으로 시간이 지나면 호전 되지만 통증이 심할 경우 온욕을 하거나 찜질, 마사지, 스트레칭 등으로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성장통이 너무 심할 경우 진통제를 복용 복용하기도 합니다.
성장통은 다른 이상 질환에 의한 것이 아님을 확인해야 진단 내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아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소아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성장판 검사

'골 연령은 성숙 정도를 나타내는 나이입니다' 성장판 검사는 골 연령(뼈 나이)와 성장 예측인자 등을 고려하여 우리 아이가 얼마만큼 클 수 있는지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성장판은 손가락/발가락 - 무릎 - 손목/척추 순으로 닫히는데, 보통 사춘기가 시작되면 무릎 성장판은 닫히고 척추 성장판만 열려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상체보다 하체가 성장하는 것이므로 성장판이 열려 있는 사춘기 이전에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성장판 검사 대상
  • 매년 키가 4cm 미만으로 자란다.
  • 또래에 비해 키가 작아 학교에서 맨 앞줄에 앉는다.
  • 사춘기가 시작되었음에도 작년과 비교했을 때 큰 성장 변화가 없다.
성장판 검사

성장판은 X-ray 검사를 통해 진행되며 무릎, 손목, 발뒤꿈치의 성장판 개폐 여부를 확인합니다.
10세 이내의 아동은 왼쪽 손과 손목을, 10세 이후에는 무릎, 팔꿈치, 어깨 등을 촬영하여 판독합니다.
이후 체질량 및 비만도 검사, 혈액검사 등을 통해 골 연령과 예측 최종 신장을 또래 아이들의 평균 수치와 비교 분석합니다.

성장장애 치료
01 생활습관 변화

유전적 영향으로 인한 성장지연의 경우 인위적인 치료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생활습관, 영양,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요인 가운데 성장을 억제하는 원인이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고쳐나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 약물치료와 병행할 수 있습니다.

02 성장호르몬 치료

성장호르몬 결핍증, 터너증후군, 만성신부전 등에 의한 성장지연의 경우 6개월 간격으로 성장호르몬 치료를 시행하며 경과를 지켜봅니다. 호르몬 분비 이상이라면 부족한 호르몬을 보충하거나 과다한 호르몬을 억제시킵니다.

소아골절

성장기 어린이 뼈는 수분이 많고 부드러운 연골조직으로 이루어져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골절됩니다. 특히 발목, 손목, 팔꿈치 등 뼈의 끝 부분에 있는 성장판이 손상되면 뼈 길이가 짧아지거나 변형이 생길 수 있어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문제는 골절 시 뼈가 부러지는 성인과 달리 휘어지는 특성이 있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유∙소아의 경우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넘어지거나 떨어진 후 특정 부위가 부어 오르거나 눌렀을 때 통증을 호소하면 반드시 전문의 진료를 받아봐야 합니다.

소아골절 증상
  • 반대측과 비교했을 때 특정 부위가 꺾여 있거나 부어 오른다.
  • 관절 움직임에 제한이 발생한다.
  • 특정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을 호소한다.
  • 눈으로는 성장판의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불완전 골절 시 휘어진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X-ray 혹은 CT 촬영을 통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소아골절 치료

소아는 골 형성능력과 재생능력이 좋아 나이가 어릴수록 치유속도가 빠르고 자연 교정이 됩니다. 따라서 대부분 수술적 치료 없이 골절 부위를 맞추고 석고나 깁스 등으로 일정 기간 고정하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고정 기간은 골절 부위와 상태에 따라 짧게는 열흘, 길게는 한 달 정도 지켜볼 수 있습니다.

성장판 골절 시 고정치료로 해결되지 않으면 소아정형외과 전문의 진단 하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의료진